묶음배송에 대해서…

묶음배송에 대해서…

묶음배송문의가 종종있습니다.

아무래도 비용절감이라는 부분때문에 문의하시는거 같습니다.

제기준대로 말씀드려봅니다.

묶으면 당연히 운송비는 줄어듭니다.

하지만 예를들어

1개 운송비가 100원이라고하면,

2개,3개…10개 묶는다고해서 총운송비를 100원만 받는게 아닙니다.

배송비라는건

매장이 구매대행업자에게 보내올때 착불로 보내올경우에 비용,

교환시나 반품시 소요되는 편도,왕복운송비,

포장비,

기타 부대비용

결정적으로 현지서 한국으로 보내오는 국제운송비

에 총합계입니다.

여러개를 묶으면 국제운송비만 빠지는겁니다. 나머지는 부과됩니다.

10개를 묶으면 9개의 국제운송비가 빠지는거뿐이지, 나머지부분은 전부 부과됩니다.

저같은경우 묶이는건 40위안을 측정합니다.

예를들어 1개의 운송비가 100위안일경우,

2개를 묶으면 100+40

3개를 묶으면 100+40+40

4개를 묶으면 100+40+40+40

2개를 묶으면 100이 아닌 60이 줄어드는거죠.

3개를 묶으면 200이 아닌 120이 줄어드는거죠.

*40위안을 측정하는 이유.

현지서 편도 배송비는 10~15위안을 잡습니다.(포장비 1~3위안고려)

40위안이면 편도 2~3번에 배송비용입니다.

교환이 안되면 남고,

1번정도 교환이되면 또이또이되고,

2번이상 교환되면 손실입니다.

이정도 받아야 플러스나는곳에서 마이너스나는곳을 메꿀수 있고

운송비면에서 또이또이됩니다.(제기준은 그렇습니다)

구매자입장에서 생각보다 운송비절감이 많지 않죠.

이제부터 제일 중요한걸 설명드려봅니다.

저는 묶음을 권장하지도, 그렇다고 나쁘게 보지도 않습니다.

이거는 건바이건으로 차이가 있는겁니다.

확실한건 묶으면 묶을수록 위험리스크는 커진다는겁니다.

품목에 따라 위험리스크가 다릅니다.

정말 작은 보잘것 없는 소품은(원가도 저렴한것) 위험리스크가 1%라면, 이러한걸 2개,3개를 묶어서 위험리스크가 2%,3%되면, 1%나 3%나 별반차이가 없습니다. 원가가 몇만원인데, 위험부담도 비슷하고 묶으면 하나당 몇천원 또는 만원씩 줄어든다면

당연히 묶어야죠. (이건 본인판단입니다)

근데 제품중에 상대적으로 위험리스크가 있는 제품 2개,3개묶으면(이런것들은 대부분 비싼겁니다) 리스크가 10%에서 30%, 50%가 되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근데 이런걸 묶으서 아낄수 있는 비용은 개당 60위안이라는겁니다. 몇천원에서 만원.

(* 60위안을 아낀다는건 운송비가 100위안일때 얘기입니다. 운송비가 165위안이라면 40위안으로 되니 125위안이 절약되는거죠. 만약 누군가 운송비를 300위안받는다면 260위안이 절약되는거죠.)

절약되는금액만 보지말고 원가와 위험도를 같이 보셔야한다는겁니다.

저는 경험상 대충보면 이게 묶어도 되는지 안되는지 압니다. 근데 그건 평균을 얘기하는겁니다. 정확한게 아닙니다.

이정도면 보통 괜찮으니 묶으세요라고했다가 문제생기면 책문문제가 있습니다.

아니… 바로 욕먹습니다.

세관검사에 걸리는게 100% 어떤 기준이 있는게 아닙니다.

불법적인 물건이다라고해서 잡을수도 있고,

관세범위를 넘어간다 싶으면 잡기도합니다.

아예 물건이 세관을 거치기도전에 랜덤으로 먼저 서류보고 미리 찍어내기도합니다.

불법적인물건이거나,관세범위를 넘는걸 확신해서 잡는게 아니라 의심품목을 잡는거라 잡았다가 멀쩡하면 풀어주는겁니다.

이부분으로 의심해서 잡았는데, 잡고보니 저부분이 확인되는것도 있습니다.

판단은 직접 하셔야하는데,

비용절감되는부분만 보시지말고,

원가/위험리스크/절감되는금액 같이 비교해서 보시고 판단하시라는겁니다.

그리고…

운송비가 무게별 다 다릅니다. 예를들어 100원, 200원,300원으로 구간이 나누어져있다고 하면,

100원,300원제품을 묶으면 운송비가 얼마일까요??? 300원에 100원짜리가 묶여야죠.(300+40 이되야죠)

100원짜리에 300원짜리를 묶어서 계산하시는분들이 있습니다(100+40 이렇게)

제가 모르고 얘기 안하는게 아닙니다. 구매자분들도 그걸 모르지는 않을텐데…